
아기 재우기 꿀팁! 백색소음 데시벨, 이렇게 맞춰주세요
많은 전문가들이 많은 전문가들이 신생아부터 영아기까지 백색소음이 아기의 수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어요. 아기가 숙면을 취하는 데에 백색소음(white noise)이 중요한 이유가 뭘까요?
백색소음이란?
백색소음은 TV의 정지 화면 소리처럼 일정한 주파수의 소음이 반복되는 소리로, 아기에게는 엄마 뱃속에서 들리던 소리와 유사한 안정감을 제공해요.
아기는 태어나기 전 10개월 동안 자궁 속에서 지속적인 소리(혈류, 소화, 심장 박동 등)에 익숙해져 있어요.
백색소음은 이런 일정한 주파수의 소리로, 자궁 안 환경과 비슷하게 느껴져 아기에게 안정감을 제공해요.
갑자기 조용한 환경보다 오히려 백색소음이 아기에게 더 편안할 수 있는 이유예요.
📌 부드러운 선풍기 소리, 비 오는 소리, 심장 박동 소리 등도 백색소음의 일종이에요.
백색소음의 수면 효과
- "잘 때구나" 아기가 알 수 있어요
→ 매번 잠들기 전에 백색소음을 들으면 ‘이 소리가 나면 잠잘 시간’이라는 인식이 생겨요. 이는 생체리듬을 형성하고 자율적으로 숙면을 유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더 빨리 잠들어요
→ 익숙한 소리가 아기에게 심리적 안정을 줍니다. - 깊은 잠을 유지해요
→ 수면 주기가 짧은 아기의 깸을 줄여주고, 다시 잠들기 쉽게 도와줘요. - 외부 소음을 가려줘요
→ 갑작스러운 생활 소음을 덮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아기는 주변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해 쉽게 깰 수 있어요. 백색소음은 자동차 소리, 문 닫는 소리, 강아지 짖는 소리처럼 갑작스러운 자극음을 덜 느끼게 해주는 필터 역할을 해요. 그 결과 더 깊고 지속적인 수면이 가능해집니다.
📌 육아 팁 : 처음에는 살짝 큰 볼륨으로 시작하고, 아기가 잠들면 서서히 줄여주세요.
백색소음 기기 선택 요령
- 소음 크기 50dB 이하
→ 일반 대화 소리 수준. 청력 보호를 위해 너무 크면 안 돼요. 수면 중 계속 틀어놓기보다 잠들 때까지만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 음량 조절 기능 필수
→ 아기의 반응과 환경에 따라 조절이 가능해야 해요. - 전원 연결형 권장
→ 배터리 방전으로 소리가 끊기면 아기가 깰 수 있어요.
📌 육아 팁 : 기계는 아기 침대에서 1m 이상 떨어진 곳에 두세요.
백색소음, 이렇게 틀어 주세요
- 아기 울 때 켜기
→ 진정 효과가 있어요. 낯선 환경에 대한 불안으로 쉽게 울음을 터뜨리는 아기에게, 일정하고 반복되는 백색소음은 심리적 안정감을 줍니다. - 잠든 뒤에는 음량 줄이기
→ 의존도를 줄이고, 자연스러운 수면 유도에 도움돼요. - 아기 반응 관찰 필수
→ 모든 아기에게 효과적인 건 아니므로, 불편해하면 즉시 중단하세요.

백색소음 기기 이용 시 주의할 점
- 장시간 사용하지 않기
→ 과도한 노출은 수면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 점차 사용 줄이기
→ 아기가 성장하며 자연스럽게 잠드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수면 루틴과 함께 활용하기
→ 백색소음만이 아닌, 취침 습관 형성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함께 실천하면 좋은 수면 습관
- 일관된 수면 루틴 만들기
→ 예: 기저귀 갈기 → 조용한 책 읽기 → 불 끄기 - 아기 방 환경 조성하기
→ 온도 22~24도, 조명은 어둡게 유지하세요. - 잠자기 전 자극 줄이기
→ TV, 격한 놀이, 강한 조명은 피해주세요.
📌 육아 팁 : 취침 30분 전부터는 조용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백색소음, 잘 활용해 보세요!
백색소음은 아기 수면을 도와주는 보조 수단으로, 잘만 활용하면 부모님과 아기 모두의 밤을 편안하게 만들어줄 수 있어요. 백색소음이 아기에게 자궁 속처럼 안정된 환경을 만들어주고, 외부 자극을 차단해 깊은 잠을 잘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면 보조 도구거든요. 잘 활용하면 밤잠, 낮잠 모두 더 수월하게 해결할 수 있어요!
하지만 모든 아기에게 꼭 맞는 방법은 다르기 때문에, 아이의 반응을 잘 관찰하며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백색소음에 과하게 의존하지 않고, 아기 스스로 수면 루틴을 익히도록 도와주시면 좋아요. 오늘 밤, 백색소음과 함께 조금 더 긴 숙면의 시간을 가져보세요.
이 글에 작성된 정보의 출처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 한국모자보건학회
- 미국소아과학회(AAP)
- 국제수면학회(World Sleep Society)
- 리베르여성병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