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자지 못하고 울 때 - 연령별 수면 문제, 대처법
육아를 시작하고 가장 힘든 부분 중 하나가 엄마의 수면 부족이죠. 저도 신생아 때는 밤중 수유를 하느라 잠을 못 자고, 이후에는 통잠 자기 전까지 밤새 어르고 달래느라 또 못 자고… 27개월이 된 첫째도 아직도 가끔씩 밤중에 저를 찾으며 오열하기도 해요. 아이의 수면장애는 엄마의 수면의 질까지 떨어뜨리기 때문에 저를 포함한 많은 양육자 분들께도 힘든 부분 중 하나일 것 같아요. 아이를 키우면서 정리한 "아이가 잠 못 자고 계속 울 때의 육아팁"입니다. 오늘 제 이야기가 도움이 되어 엄마들, 아빠들, 그리고 아기들이 보다 편안한 밤을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연령별 수면 이해하기
아이들의 수면 시간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어요. 하지만 이는 참고 사항일 뿐, 모든 아이에게 똑같이 적용되지는 않아요. 더 자세한 아기 수면 가이드는 아기 수면 시간 가이드 크루레터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아기 권장 수면 시간
- 신생아 (0-3개월)
- 하루 총 15-17시간
- 3-4시간 간격 수유
- 낮과 밤의 구분이 없음
- 영아기 (4-11개월)
- 하루 총 12-15시간
- 낮잠 2-3회 포함
- 밤잠이 길어지기 시작
- 유아기 (1-2세)
- 하루 총 11-14시간
- 낮잠 1-2회 포함
- 밤잠이 안정화됨
수면을 방해하는 주요 원인과 대처법
아이가 밤에 자다가 자주 깨는 것은 수면 장애가 원인일 수도 있지만, 주로 다른 질환 때문일 수도 있어요. 아기 수면을 방해하는 다양한 원인들을 알아볼게요.
영아산통
생후 4개월 이전의 아기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영아산통은 특히 저녁이나 밤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어요.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소화기관이 미숙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여겨져요.
- 하루 3시간 이상 지속되는 울음
- 최소 주 3회 이상 발생
- 달래기 어려운 고음의 울음
- 주로 저녁 시간대에 심해짐
영아산통 대처 방법
- 생활 관리
- 잦은 트림 시키기
- 편안한 자세 유지하기
- 따뜻한 배 마사지하기
- 수유 관리
- 젖병 종류 변경 고려
- 분유 변경 검토
- 수유 자세 확인
이앓이
이가 나기 시작하는 6개월 이후에 나타나며, 특히 어금니가 날 때 아이들이 더 힘들어해요. 예민한 아이들은 이 시기를 꽤 힘들게 보낸다고 해요.
- 평소보다 심한 보챔
- 잇몸 가려움
- 침 흘림 증가
- 때때로 미열 동반
아기 이앓이 대처법
- 즉각적 통증 완화법
- 시원한 거즈로 잇몸 문지르기
- 치발기 사용하기
- 차가운 음료 제공하기
- 일상적 관리
- 규칙적인 구강 위생
- 충분한 수분 공급
- 부드러운 음식 제공
성장통
성장통은 주로 하지에 나타나며, 특히 밤에 통증이 심해져요. 대부분은 건강상의 문제가 아니지만, 아이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어요.
- 양쪽 다리의 균형적인 통증
- 낮에는 정상 활동 가능
- 특별한 외상이나 부종 없음
아기 성장통 대처법
- 즉각적 통증 완화법
- 따뜻한 목욕
- 부드러운 마사지
- 온찜질
- 일상적 관리
- 규칙적인 운동
- 충분한 영양 섭취
- 적절한 휴식
철분 결핍
생후 6-24개월 사이에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철분 결핍은 수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 수면 패턴 변화
- 잦은 보챔과 깸
- 전반적인 컨디션 저하
아기 철분 결핍 대처법
- 식이 관리
- 철분이 풍부한 이유식
- 비타민 C 보충
- 필요시 철분제 복용
야경증
야경증은 8세 이전 아이들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수면 장애예요. 야경증은 아이가 악몽을 꾼 것과 같이 행동해요. 아이가 야경증 증상을 보일 때, 보호자가 알아야 할 중요한 특징과 대처법을 살펴볼게요.
- 심한 울음과 몸부림
- 부모를 알아보지 못함
- 최대 1시간 지속
- 다음날 기억 없음
아기 야경증 대처법
- 즉각적 대응
- 아이를 깨우지 않기
- 안전한 환경 조성
- 침착하게 기다리기
- 관리 방법
- 수면 패턴 기록하기
- 취침 환경 관리
- 필요시 전문의 상담
밤새 자지 못하는 아이, 이렇게 대처해 보세요!
아이의 수면 문제는 대부분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또 사라지는 현상이에요. 하지만 증세가 심한 경우에는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아요. 아이의 건강한 수면을 위해서는 부모의 이해와 인내가 필요해요. 이 시기는 분명 지나갈 거예요. 이것을 꼭 기억하시면서, 아래 포인트들을 살펴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 생후 3개월 이내의 아기들은 하루에 15~17시간 정도 자는 것이 좋아요. 물론, 이 시간 내내 잠만 자는 건 아니에요. 보통 3~4시간마다 일어나서 모유나 분유를 먹어야 해요.
🍼 혹시 아기가 영아산통 때문에 힘들어하고 있나요? 영아산통으로 우는 아기는 정말 괴롭고 아픈 듯이 찢어지는 듯한 울음소리를 내곤 해요. 그런데 울면 울수록 공기를 많이 마시게 되어 오히려 더 심하게 울고 잘 그치지 않을 수 있어요. 영아산통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보통 소화기관이 아직 미숙해서 생긴다고 해요. 그래서 아기가 자주 트림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편안한 자세로 안아주어 아기의 배를 안정시켜주는 것이 중요해요.
🍼 아기가 이앓이로 고생하고 있다면, 시원한 것을 물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거즈에 시원한 물을 묻혀서 아기 입에 물려주거나, 물 묻힌 거즈를 살짝 얼려서 아기가 잘근잘근 씹을 수 있게 해주면 도움이 될 거예요.
🍼 성장통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어서 걱정되시죠? 따뜻한 물로 목욕하거나 부드럽게 마사지해주면 통증을 줄일 수 있어요.
🍼 야경증으로 아이가 악몽을 꾼 것처럼 땀을 흘리며 떨거나 숨이 가빠하고, 겁에 질려 있을 때는 놀라지 마시고 차분하게 대처해 주세요. 아이를 깨우지 않아도 되지만, 다치지 않도록 주변 환경을 안전하게 만들어주시고, 아이가 곧 다시 잠들 거라는 믿음으로 천천히 달래주시면 돼요.
이 글은 맘블리 김희선 앰버서더님의 노하우로 구성 되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크루레터
👉 밤에 자주 깨는 아기 - 원더윅스(성장통) 특징과 시기, 대처법
👉 연령별 아기 수면 시간 가이드 - 올바른 수면습관 만드는 방법
👉 아이가 열날 때 - 주요 발열성 질환과 대처법 알아보기
👉 아이가 설사할 때 대처법 알아보기 - 변비 대처법도 함께!
👉 아이가 다쳤을 때 - 안전사고 대처법, 응급처치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