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밥 시간인데 자는 아기, 깨워서라도 먹여야 하나요?
검색해도 안 나오는 육아 질문, 육아 고민! 육아크루 엑스퍼트에 물어보세요.
이 질문은 전문가 답변이 완료되었어요.
10개월 딸 엄마의 질문, "밥 시간인데 자는 아기, 깨워서라도 먹여야 하나요?"
밥 시간에 아이가 낮잠을 자는 경우가 자주 있어요. 밥 시간을 지켜야 할지, 아니면 아기의 수면을 존중해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밥 시간인데 자는 아기를 깨워서라도 먹이는 게 맞는 걸까요?
이 질문을 한 크루는,
✔️ 10개월 딸을 키우고 있는 엄마예요
✔️ 아이가 1명이에요
영유아 식품 전문가, 김명희 소장님의 답변
아기가 밥 시간에 자고 있을 때 깨워야 할까?
아이가 밥 시간에 자고 있을 때 깨워서 먹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생체리듬과 식습관 모두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 두 가지를 균형 있게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성인의 기준으로 정해진 밥 시간에 꼭 맞춰 아이를 깨워 먹이려고 하면, 아이의 수면 리듬이 깨지고 심리적인 불안이나 피로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는 성장 과정에서 수면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면 중 성장호르몬이 분비되고 뇌 발달과 정서 안정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아기의 생체리듬과 식습관,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
아이는 어른처럼 정해진 시간에 맞춰 깨어나 식사하는 것보다, 자연스러운 수면 패턴을 존중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아직 생체리듬이 완전히 자리잡지 않은 시기의 아이를 어른의 기준에 맞추어 억지로 깨우게 되면,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울며 거부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이는 식사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억지로 깨워서 먹인 뒤 다시 잠들지 못하면, 아이가 과도하게 피곤해지고 하루 전체의 수면 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밥 시간과 아기 수면, 균형 잡는 방법
식습관의 시간 개념은 성장하면서 조금씩 배워가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초기에는 시간을 엄격하게 지키기보다 아이가 스스로 배가 고파서 깰 때 자연스럽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물론 하루 동안 너무 식사 간격이 길어지거나, 영양 섭취가 부족해질 정도라면 일정 부분 부모가 조율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한두 번 밥 시간이 조금 늦어진다고 해서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참고로, 평균적인 영유아 수면 시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생아(0~3개월): 하루 14~17시간
- 영아(4~11개월): 하루 12~15시간
- 걸음마기(1~2세): 하루 11~14시간
- 유아기(3~5세): 하루 10~13시간
이처럼 영유아 시기에는 하루 대부분을 잠으로 보내며, 특히 낮잠도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밥 시간이라고 해서 굳이 아이를 깨워 먹일 필요는 없으며, 아이의 생체리듬을 존중하면서 식사 시간을 조금씩 맞춰가는 방식이 가장 자연스럽고 건강한 방법입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밥 시간 자체보다는 아이가 편안하게 먹고 충분히 자는 것, 그리고 하루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영양을 섭취하는 것입니다.
커버 이미지 출처 : Freep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