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열기
Q. 아기 개월수별로 하루에 먹여야 하는 식사량이 있나요?

Q. 아기 개월수별로 하루에 먹여야 하는 식사량이 있나요?

영유아 식품 전문가, 김명희 소장님

·

검색해도 안 나오는 육아 질문, 육아 고민! 육아크루 엑스퍼트에 물어보세요. 
이 질문은 전문가 답변이 완료되었어요.

8개월 딸 엄마의 질문, "아기 개월수별로 하루에 먹여야 하는 식사량이 있나요?"

"아이가 크면서 식단을 점점 늘려가고 있는데, 아기 개월수별로 하루에 먹여야 하는 식사량이나 권장 섭취량이 정해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 질문을 한 크루는,
✔️ 8개월 딸을 키우고 있는 엄마예요 
✔️ 아이가 1명이에요

영유아 식품 전문가, 김명희 소장님의 답변

식약처, 대한소아과학회 등의 권장 기준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각 시기별 식사 횟수, 1회 식사량이며 아이의 발육, 특성에 따라 양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초기 이유식 (생후 4~5개월)

이유식은 보통 생후 4~5개월 사이에 시작하는데, 초기에는 하루 한 번, 아주 묽은 쌀미음 40ml정도로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한두 숟가락만 먹여보며 아기의 반응을 살핀 후, 서서히 양을 늘려갑니다. 이 시기에는 소화기능이 미숙하므로 단일 재료로 조리하고, 3일 간격으로 새로운 식재료를 도입하는 '3일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단백질 식품은 아직 사용하지 않거나, 의사의 지도하에 소량으로 도입합니다.

2. 중기 이유식 (생후 6~8개월)

중기에 접어들면 아기의 위 용량이 커지고, 다양한 식재료를 받아들일 준비가 됩니다. 하루 2회 식사가 가능하며, 한 끼 식사량은 약 60g으로 늘어납니다. 주식(죽)과 함께 부재료로는 채소 10g 내외, 단백질 식품(쇠고기, 두부, 노른자 등)은 5~10g 정도 사용합니다. 이 시기부터는 쌀 이외의 곡류나 채소, 동물성 단백질 등을 함께 섞어 조리하며, 되직한 죽 형태로 제공하게 됩니다.

3. 후기 이유식 (생후 8~10개월)

후기에는 하루 3회 식사가 가능하고, 한 끼 식사량도 80g으로 증가합니다. 음식의 질감은 죽보다는 되직한 무른밥 형태에 가까워지며, 잘게 다진 고기나 채소를 함께 넣어 조리합니다. 손으로 음식을 집어 먹으려는 행동이 늘어나기 때문에, 고구마, 바나나, 두부 등 손가락 음식(핑거푸드)도 함께 제공하면 좋습니다. 간식은 하루 1회 정도로, 간단한 과일이나 이유식용 빵, 요거트 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완료기 이유식 (생후 10~12개월)

완료기는 일반 가정식으로 전환하기 전 단계입니다. 이 시기에는 하루 3회의 식사와 1~2회의 간식이 권장되며, 한 끼 식사량은 100~120g 수준의 진밥으로 구성됩니다. 부식도 점차 늘려 채소, 육류, 생선, 달걀 등 다양한 재료를 조화롭게 사용하며, 총 40g 정도의 반찬이 포함됩니다. 음식은 질감과 형태 모두 일반식에 가까워지며, 아이가 숟가락을 사용하여 스스로 먹는 연습도 함께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5. 이유식 식사량 조절의 핵심

각 시기마다 권장되는 식사량과 형태는 존재하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아기의 발달 상태와 수용성입니다. 아기가 먹는 양이 권장량보다 적다고 해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억지로 먹이기보다는 아기의 식욕, 소화 상태, 성장 곡선 등을 참고해 유연하게 조절해주세요. 식사 시간은 즐겁고 안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커버 이미지 출처 : Freepik

육아크루 앱 설치하고

동네 육아친구를 찾아요!

육아크루 앱 설치 배너 QR코드

스마트폰 카메라로
QR코드를 스캔하고,
<육아크루> 앱 다운로드 받으세요!

육아크루 앱 설치 배너 이미지

“그거 아세요?”
동네 육아친구들끼리 진짜 정보 공유하러 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