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열기
내 거야! 다 내 거야! 아이에게 알려주는 나눔

내 거야! 다 내 거야! 아이에게 알려주는 나눔

소습 아빠

·

아이와 함께 놀이터에 갔는데 갑자기 장난감을 빼앗는다거나, 친구에게 빌려주기를 거부하는 모습을 보신 적 있나요? “왜 이렇게 욕심이 많지?”, “사회성이 부족한 건 아닐까?” 걱정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이건 걱정할 일이 아니라, 아이가 ‘내 것’과 ‘네 것’을 배우는 아주 자연스러운 과정이에요. 오늘은 부모님들이 꼭 알아야 할 나눔 발달 단계와, 현실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나눔 교육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

왜 우리 아이는 장난감을 나누기 싫어할까요?

아직 '소유 개념'을 배우는 중이에요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 따르면, 2-4세 아이들이 '내 거'에 집착하는 건 매우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이라고 해요. 이 시기의 아이는 내 것과 남의 것의 경계를 배우는 중이거든요. 물건을 나누는 건 곧 잃어버린다고 느끼거나, ‘나만의 세계’를 지키고 싶어서 방어적으로 행동하죠.

  • 아직 '내 것' '네 것'을 구분하는 걸 배우는 중이에요
  • 물건을 나누면 영영 잃어버릴 것 같은 불안감을 느껴요
  • "안 돼!"라고 말하면서 자기 의견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고 있어요

자율성과 표현력이 자라는 시기예요

“이건 내가 정할래!”, “안 줄 거야!” 같은 말은 자기주장을 키우는 과정입니다.
Erikson의 발달이론에 따르면 만 1~3세는 ‘자율성 vs 수치심’의 시기이며, 아이는 스스로 선택하려는 욕구가 강해집니다.

낯선 상황이 무서운 아이들 – 인지적 자기 보호

처음 보는 친구, 처음 보는 장난감. 익숙하지 않아서 불안해지고, 소중한 내 물건은 지키고 싶어져요.

나눔 발달, 연령대별로 이렇게 달라져요

24개월~36개월

이 시기는 ‘내 거야!’라는 말이 가장 많이 나오는 시기로, 아이가 자율성과 소유 개념을 형성해가는 중요한 시기예요. 친구와 물건을 나누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으며, 부모님의 격려와 일관된 반응이 특히 중요합니다. 억지로 강요하기보다는 나눔을 시도한 작은 행동이라도 인정해주는 태도가 필요해요.

  • "내 거야!" 시기의 절정
  • 부모님의 격려가 특히 중요해요

만3세~4세

이 시기의 아이는 이전보다 사회성이 발달하면서 친구와 번갈아 가며 장난감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이때는 타이머나 시계 등을 이용해 순서를 정해주는 방식이 효과적이에요. ‘5분씩 바꾸기’ 같은 간단한 규칙을 통해 나눔의 시작을 도와줄 수 있어요.

  • 친구와 장난감을 번갈아 가며 놀 수 있어요
  • 타이머로 순서 정하기가 효과적인 시기

만4세~5세

다른 사람의 감정을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하는 시기로, 나눔의 즐거움을 스스로 느끼는 아이들도 생깁니다. 친구가 기뻐하는 모습을 보고 뿌듯함을 느끼거나, 함께 놀이하면서 협동의 기쁨을 경험할 수 있어요. 이때는 스스로 선택해서 나누는 경험이 쌓이도록 자연스럽게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좋아요.

  • 다른 사람 감정을 이해하기 시작
  • 스스로 나누는 즐거움을 느껴요

현실에서 바로 써먹는 나눔 교육 팁

나눴을 땐 꼭! 칭찬해주세요

“와, 동생한테 장난감 빌려줬네! 멋진 형아구나~”
작은 나눔도 놓치지 말고 칭찬해 주세요.
칭찬은 아이의 긍정 경험을 강화해요.

타이머로 순서 정하기

"5분은 네 차례, 5분 후엔 친구 차례야"
타이머 소리가 나면 자동으로 교체! 갈등을 줄여줘요.
✔ 예시 상황: 키즈카페에서 하나의 인형 때문에 다툰다면? → 타이머 사용

소중한 물건은 미리 숨기기

“할머니가 사준 인형은 친구 오기 전에 서랍 속에~”
소중한 물건은 미리 보관하고, 나누기 쉬운 장난감을 준비해보세요.

함께 놀기의 즐거움 알려주기

“"혼자 블록 쌓기보다 친구랑 같이 쌓으면 멋진 성이 만들어질 것 같은데?”
공동 놀이를 제안하며 함께하는 즐거움을 자연스럽게 가르쳐주세요.

부모가 먼저 나누기를 실천해요

“엄마 과자 반 줄게~”
“아빠 색연필 같이 써보자!”
일상에서 부모가 먼저 나누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따라 합니다.

 

이런 상황, 이렇게 말해보세요!

  • 😢 장난감 뺏겼을 때
    “지금은 OO이가 가지고 놀고 있어. 너도 갖고 싶지? 5분만 기다려줄래?”

  • 😠 새 장난감을 친구 앞에서 자랑할 때
    “새 장난감이 너무 좋아서 그랬구나~ 근데 친구도 궁금할 것 같은데 같이 보면 어때?”

  • 🤔 어린이집 적응 중이라면
    “어린이집 장난감은 다 같이 쓰는 거야. 집에서는 OO이 장난감이니까 맘껏 놀 수 있어!”

아이의 ‘작은 변화’에 박수를 보내주세요!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는 “아이의 나눔 행동은 강요보다 자연스러운 감정이입을 통해 습득된다”고 말합니다. 지속적인 격려와 부모의 본보기가 가장 중요해요. 우리 모두가 잘 아는 것처럼, 나눔은 하루아침에 배우는 것이 아니잖아요. 아이의 발달 단계와 감정을 이해하고, 부드럽게 접근하면 조금씩 변화가 생깁니다.

소중한습관육아크루는 오늘도 아이와 함께 자라나는 모든 부모님을 응원합니다. 작은 격려와 칭찬 한마디가, 아이의 사회성과 자존감을 크게 키워줄 거예요. 😊

 

이 글에 작성된 정보의 출처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 한국모자보건학회
  • 미국소아과학회(AAP)
  • 리베르여성병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검토

*커버 이미지 출처 : Shutterstock

이 글도 함께 읽어 보세요.

엄마의 육아친구, 아이에게도 좋아요! "엄마, 나 저 친구 알아!"

엄마의 육아친구, 아이에게도 좋아요! "엄마, 나 저 친구 알아!"

[육아 응급처치 방법] 아기 낙상사고, 찰과상, 타박상, 화상 대처법

[육아 응급처치 방법] 아기 낙상사고, 찰과상, 타박상, 화상 대처법

아기 딸꾹질 예방법, 병원에 가야하는 딸꾹질

아기 딸꾹질 예방법, 병원에 가야하는 딸꾹질

#노하우#영유아

육아크루 앱 설치하고

동네 육아친구를 찾아요!

육아크루 앱 설치 배너 QR코드

스마트폰 카메라로
QR코드를 스캔하고,
<육아크루> 앱 다운로드 받으세요!

육아크루 앱 설치 배너 이미지

“그거 아세요?”
동네 육아친구들끼리 진짜 정보 공유하러 오세요!